본문 바로가기
SMALL

✈️ 여행 · 유학 · 이민 노트89

캐나다 자녀 교육비 vs 한국, 비교해보니 “한국에서 자녀 교육비 감당이 안 돼요.” 실제로 제가 캐나다로 이민을 고민하게 된 이유 중 하나도 바로 자녀 교육비 때문이었습니다. 학원비, 과외비, 사교육비가 한 달 생활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면서 ‘이건 좀 과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죠. 캐나다에서 1년간 아이를 초등학교에 보내며 직접 체험해 본 결과, 교육비뿐 아니라 교육의 질과 방식까지 한국과는 정말 많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캐나다와 한국의 자녀 교육비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비교해보고, 그 속에서 느낀 경험과 현실적인 조언을 나눠보겠습니다.1. 한 달 학원비면 캐나다 1년 교육이 끝난다?한국: 매달 수백만 원, 캐나다: 공립학교는 사실상 무상제가 서울에 살 때, 초등학생 자녀의 사교육비로만 한 달에 약 120만 원을 썼습.. 2025. 7. 23.
이민 1년 차 리얼일기—한국인으로 산다는 것 “여기서도 난 여전히 한국인이다.” 이민을 결심할 때만 해도 새로운 삶, 새로운 환경, 새로운 정체성을 꿈꿨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습니다. 말레이시아로 가족과 함께 이민을 온 지 1년, 저는 여전히 김치 냄새 나는 집에서 한국 뉴스에 울고 웃으며, 고국과 떨어져 있지만 완전히 떠나지 못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민 1년 차 한국인으로 살아보며 느낀 진짜 일상, 적응의 고비, 정체성의 고민, 그리고 작지만 분명한 성취에 대한 기록입니다.1. 떠났지만 여전히 ‘한국인’입니다낯선 땅에서도 익숙한 나이민 초반엔 현지에 스며드는 게 목표였습니다. 마트에선 영어로 주문하고, 로컬 음식도 잘 먹고, 커뮤니티 모임에도 적극 참여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깨달았습니다. 아무리 자연스럽.. 2025. 7. 22.
이민 전 체크리스트 TOP10 - 실수 없이 준비하자! “이민 준비 중인데 뭘 먼저 챙겨야 할지 모르겠어요.” 실제로 제가 처음 가족 이민을 결정했을 때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기도 합니다. 막상 결정은 했지만 준비할 게 너무 많고, 막연한 불안감이 앞서게 되죠. 저도 말레이시아로의 장기 체류를 준비하면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처럼 이민이나 장기 해외 거주를 준비 중인 분들을 위해 꼭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 10가지를 정리해 드립니다. 이 리스트만 지켜도 80% 이상은 실수 없이 준비할 수 있습니다.1. 계획 없는 이민은 재앙이 된다체류 목적과 비자 유형부터 명확히 하자가장 먼저 할 일은 이민 목적에 따라 어떤 비자를 받아야 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입니다. 단순 워킹홀리데이인지, 영주권 이민인지, 투자이민인지에 따라 준비 서류부터 체류 기.. 2025. 7. 21.
외국대학 온라인수업, 이렇게 들으면 GPA 오른다 코로나19 이후 외국 대학의 온라인 수업이 보편화되면서, 해외 유학이나 교환학생을 준비하는 많은 학생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업 방식, 과제 제출, 참여 평가 등 모든 게 낯설고 영어로 진행되는 수업은 집중조차 쉽지 않다는 후기도 많습니다. 저 역시 미국 동부 소재 대학에서 온라인으로 한 학기를 들었고, 초반에는 멘붕이었지만 몇 가지 꿀팁을 적용하면서 GPA를 3.9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런 저의 실제 경험을 기반으로 작성된 ‘외국 대학 온라인 수업 효율적으로 듣는 방법’입니다.1. 온라인 수업, 듣기만 하면 절대 안 된다수동 청취는 학점 하락의 지름길많은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틀어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따라간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외국 대학의 강의는 대.. 2025. 7. 19.
미국 워킹홀리데이 리얼후기, 알바부터 생활비·집구하기까지 “미국 워킹홀리데이, 막연히 꿈만 꾸다 다녀오고 나니 정말 달라졌습니다.” 1년간의 미국 워홀 경험은 단순한 여행이나 어학연수가 아닌, 제 인생의 진짜 전환점이었습니다. 일과 영어, 인간관계, 생활 전반을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체험하고 부딪힌 생생한 현실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워킹홀리데이를 고민하는 분들을 위해 생활비, 아르바이트, 집 구하기 등 실제 제가 겪은 내용을 있는 그대로 정리한 것입니다. 모쪼록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1. 현실부터 알려드립니다: 미국 생활비는 싸지 않다대도시 기준 월평균 지출제가 머문 곳은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였고, 생활비는 월평균 1800~2200달러 수준이었습니다. 가장 큰 지출은 렌트와 식비였습니다. 렌트는 방 한 칸 쉐어 기준 800~1000달러, 외식.. 2025. 7. 18.
유학 후 취업까지, 커리어 브릿지를 설계하라 “유학을 다녀왔지만 경력 공백만 남았다”는 말을 종종 듣습니다. 많은 유학생들이 학위 취득까지는 성공하지만, 졸업 후 현지 취업이나 커리어 연계에 실패하면서 막막함을 겪습니다. 최근 글로벌 기업들이 ‘실무 경험 있는 외국 학위자’를 적극 채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유학과 취업을 연결해주는 ‘커리어 브리지 전략’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저는 미국 HCI 석사 유학 후 현지 테크 스타트업에서 UX 리서처로 2년간 근무했고, 이후 한국에서 외국계 기업으로 커리어를 자연스럽게 확장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제가 실행했던 커리어 브리지 전략을 실제 경험 중심으로 소개해 볼까 합니다.1. 유학 후 취업이 실패하는 이유부터 살펴보자목표 없는 유학은 시간과 비용 낭비단순히 “좋은 학교”를 목표로.. 2025. 7. 17.
LIST